061029-2

DoMath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기사

  • 최근 10년 동안 미국에서 홈스쿨링을 하는 아이들의 수가 1만명에서 250만명으로 크게 늘었다. 한국에 온 교육운동가 존 테일러 개토(72)는 이를 “미국 공교육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것”으로 본다.
  • 35년 동안 뉴욕에서 교사로.
  • .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교를 그만두려는 학생에게, 일터에서 일하면서 학교에는 한 달에 한 번만 오도록 한 것이 그가 펼친 게릴라 수업의 대표적인 보기다.
  • “아이들은 각자 삶 속에서 배우고 스스로 자란다”
  • “찰스 다윈의 이론은 흔히 천부적으로 능력이 뛰어난 이들만 살아남고, 살아갈 가치가 있다는 식으로 해석되지요. 그런데 아이들을 가르치다 보니 통찰력, 지혜, 정의감, 너그러움, 용기, 창의성처럼 인간의 훌륭함을 대표하는 특징들이 전혀 엉뚱한 아이들에게서 수시로 나타났고, 나는 혼란을 느꼈습니다.”
  • 그 혼란은 국가교육제도의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발전했다. “역대 미국 대통령들의 평균 학점은 시(C)입니다. 솜씨 좋은 미용사에게, 헌신적인 소방관에게, 학창시절 학점이 어땠는지 아무도 묻지 않습니다. 오직 학교에서만 아이들을 특정한 기준으로 무리짓고, 그들의 인성까지 학점으로 평가하며 끊임없이 경쟁을 부추기죠. 실제로 훌륭한 인간이 될 수 있는 방법은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최고 학점을 받는 아이들조차 학교를 지옥으로 느낀다면, 과연 학교는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까?”
  • 교직 생활 동안 느낀 공교육의 모순과 허구를 까발렸다. 이 연설이 뜨거운 반응을 얻으면서 내용을 보강해 1992년 <바보 만들기>라는 책을 출간했다.
  • 얼마 전 뉴욕 외곽 황무지를 조금 샀는데, 사람들이 모여 자연스럽게 교육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을 만들려고 합니다.” 할리우드에 진출한 그의 제자들이 배우로, 연출자로 ‘자원봉사’를 자처해 개토의 생각과 경험을 담은 극영화도 제작될 것 같다.
  • 독일 교육을 미국이 모방하고, 이것이 일본을 거쳐 한국 근대 공교육이 확립됐지요. 상황은 조금씩 다르지만, 근본적인 문제점은 같을 것입니다. 아이들이 학교만 가면 생기를 잃고, 쓸데없는 경쟁을 통해 바보가 된다는 점입니다.” 그의 통쾌한 직설화법이 한국 교사와 학생들에게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궁금하다.



학교가 경쟁을 부추긴다고해서 그것이 학교가 가질 수 밖에 없는 성격이라고 할 수 없겠지. 사회가 경쟁을 먹고 사는데, 그 사회의 구성원을 '만들려고 했던 독일 공교육 이후 공교육 제도로서의 학교'가 그런 경쟁의 표본의 될 수 밖에 없는 것은 어쩔 수 없다해도, 그것을 일반적인 '학교'에 적용할 수는 없는 거겠지. 누가 누구를 '교육시켜 만든다는 생각', 내가 너를 기른다는 생각이 뿌리 내리면 끝장하는 거지. 거기다 제도적으로는 니가 여기 들어왔으니 이렇게 해야해 라고 하는 것도 정도껏 해야지. 좋은 사람 찾아가서 함께 머물면서 삶 속에서, 그리고 인류가 쌓아올린 지식의 흥미진진함을 함께 나눌 수 있다면 좋겠지. 지식이란, 올라가면 버려야할 사다리건, 건너고 뒤도 안돌아볼 나룻배건, 그걸 지나쳐 가긴 가야할거야. 그렇다고 꼭 사람에게 '배워야' 하는 건 아니지. 사람에게서도 배울 게 있는거지. 수학 같은 건 사실 학교 아니면 어디서 배우겠어? 그걸 무지 재미있어 하는 아이들도 있을테니까...

ParhaDiary      오늘 쓰다      오늘 그리다       오늘 우리말       오늘 담다